For 삶의 풍요로움,,,/금융정보 | Posted by 핑크리더 2009. 3. 9. 11:05

부자의 틈새시장


강의: (주)시에라웰스파트너스 서현수 대표 http://www.sierrafn.co.kr/main.php

[2009년 하지 말아야 할 순]
1. 부동산(주거용, 상가)
2. 예금
금리가 엄청 낮기 때문에 물가상승률을 생각하면 실제 수익율은 -마이너스.
3. 주식
직접투자는 힘든 부분이 많으므로 간접투자 추천
4. 펀드
기대수익율을 낮춰라. 시중금리에서 3,4%정도 더한 정도만 기대해라.
5. 채권
내년초까지는 유리할 예정. 국공채, 회사채는 AA이상.

[경기가 침체될 때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은]
1. 금리를 낮춘다.
2. 세금을 줄인다.
3. 국책사업을 펼친다.

[기타 일반 경제현상들]
1. 보통 주식은 경기를 선행. 주식이 뛰고 1년 후쯤 부동산이 뛰는 것이 일반 (과거 동시에 뛴 경우도 있긴 했음)
2. 주식을 사기 위해서는 소비재, 원자재, 금융주. 시기는 4월 이후
3. 현재 반쪽난 펀드는 지금부터 1년 반 정도 지금 까지 넣었던 금액만큼 넣으면 원금은 찾을 수 있을 듯.
4. 현재 유망한 펀드는 중국과 인도. 들어가면 3년 이상을 보고 넣어야 한다.
5. 부동산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 정부는 규제를 대폭 풀것으로 예상. 이는 없는 이는 더 없어지고 있는 사람이 더 구입하여 빈익빈부익부가 심화될 가능성.
6. 주식은 빠진 놈이 먼저 뛴다. 금융주가 먼저 빠졌으므로 금융주가 먼저 뛸 가능성.
7. 콜금리가 낮다는 것은 경제 발전이 그만큼 낮다는 것.
8. 적금계산: 이자%*6/12(평균치)+복리(0.1%)-이자세금
9. 콜금리 추이를 항상 보자 (매월 둘째주 목요일)

[보험을 들때는]
1. 소득의 8%정도가 적당
2. 보장기간이 긴것(100세까지)
   보험기간도 긴게 좋다. (20년 이상)
3. 만기환급형 보다는 순수보장형이 좋다.
 (몇십년 동안의 물가상승율을 생각하면 차라리 차액만큼 다른곳에 투자하는것이 더 유리)

*4월1일 부터 6회 경험생명표가 갱신됨. 암관련 비용이 많이 올라 갈것으로 예상


[회계]
*복리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인플레이션
*가격 vs 가치
*재무제표
For 삶의 풍요로움,,,/금융정보 | Posted by 핑크리더 2009. 2. 24. 11:35

펀드의 종류

[주식형 펀드] 뭉칫돈의 대부분(60% 이상)을 주식 사는데 쓰는 펀드
대형주펀드 : 대기업과 같이 자본금이 큰 주를 사는 것.
중소형주펀드 : 그 보다 작은 기업의 주식을 많이 사는 것.
가치주펀드 : 기업구조는 탄탄한데 주가는 그만큼 오르지 않아서 저평가된 주에 집중투자 하는 것.
성장주펀드 :
배당주펀드 : 배당수익이 높은 주식에 투자하는 것.
공모주펀드 : 새롭게 상장하는 회사
인덱스(지표)펀드 : 오르는 만큼의 수익율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 만약 주가지수가 20% 오르게 되면 인덱스 펀드도 20% 수익율 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펀드.

주식혼합형 펀드 :  주식과 채권을 일정 비율씩 투자하는 펀드. 주식형과의 차이점은 주식형에 비해서 주식을 덜 사는 펀드.
성장형(고수익, 고위험) 펀드 : 하루에도 오르고 내림을 반복하는 주식에서 주식을 많이 살수록 돈을 벌 확률도 높지만 동시에 손해 볼 확률도 높다. 이런 펀드를 성장형이라 한다.
안정성장형 펀드 : 주식을 조금만 사 수익은 적지만 손해볼 가능성도 적은 펀드.



[채권형 펀드] 채권을 사는데 대부분의 돈을 쓰는 펀드
국공채 펀드:
회사채 펀드:
하이일드 펀드:




MMF : 초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펀드.
파생상품 펀드 : 부동산 투자나 부동산 관련 자금을 대출하는 펀드. 파생상품 통한 구조화된 수익 추구.
부동산 펀드 : 부동산 투자나 부동산 관련 자금을 대출하는 펀드. 환금성에 제약. 장기투자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
실물 펀드 : 금, 은, 구리, 농산물 등 실물에 투자. 환금성에 제약. 장기투자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
특별자산펀드 : 선박, 도로 등 특수자산에 투자. 환금성에 제약. 장기투자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
재간접펀드 : 다른 펀드에 재투자. 다양한 성격과 특징을 가진 펀드에 분산투자.


엄브렐러펀드 : 펀드운영이 투자자 자신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펀드. 한 자산운용회사의 운영펀드 중 펀드수익율에 따라 최소한의 수수료만 지불하고 갈아 탈수 있는 것.

뮤추얼펀드 : 서류상의 회사로서 그 법인격을 가지기는 하나 상주 임직원이 존재하지 않는다.


자료: 재테크독하게하라. (김민수, 이광배 지음) - 미르북스
        몇권 안본 펀드관련 책중에 좋은 책이였다.

휴면예금관리재단 www.mif.or.kr

전국은행연합회 www.kfb.or.kr

생명보험협회 www.klia.or.kr

대한손해보험협회 www.knia.or.kr

 

홈페이지에 방문하면 휴면보험금이나 휴면예금이 있는지 조회해 볼 수 있다.

상호저축은행이 이자를 많이 주는 이유
대출이자가 시중은행보다 높기 때문이다.
대략 은행은 5~10%, 담보는 5~8%, 신용은 6~12% 선인데 상호저축은행은 연8~13%, 신용대출은 연18~60%.
따라서 예금 이자가 높은 것.

이렇게 운영을 하니 당연히 위험부담은 높을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요즘은 이자도 시중은행과 비교 그리 차이가 안난다.

 

예금자보호가 되서 안전하다는데?
파산할 경우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예금보험공사에서 1인당 최고 5000만원까지 돌려주는 제도.
헌데 돌려주는데 까지 실사를 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이 통상 2~3개월 정도 걸린다.
돈이 그 동안 묶인다는 뜻이다. 또한 처음 기대 했던 이자를 못받는 것. 시중은행 금리정도로 주고 파산절차 기간동안은 3%정도만 받을 수 있다.

 

상호저축은행 선택기준
상호저축은행의 BIS비율을 확인해야 함.
BIS비율이 8%를 넘고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8%가 안 되는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상호저축은행중앙회 홈페이지(www.fsb.or.kr, 메뉴: 저축은행-->경영공시-->주요 경영비율) 또는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http://fisis.fss.or.kr)을 통해 확인가능.

지점수와 직원수가 많고 자산규모가 큰 저축은행이 좋다. 반드시 그러하지는 않으나 확률적으로 좋다는 것이다.

자료출처-금융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진실 (송승용 외)

http://credit4u.or.kr/

회원가입시 265원 결제하면 가입과 동시에 바로 조회해 볼 수 있다.

잊고 지냈던 카드가 2건 있었따;;;;